톡톡톡신경과

손발저림 및 말초신경병

정확한 진단과 올바른 치료를 약속합니다.

손발저림이란?


손발저림은 일생을 살아가면서 누구나 쉽게 경험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.
손발저림의 90% 이상은 대개 팔, 다리, 허리 등
말초신경계 문제로 인해 발생하고 있습니다.

특히 손발저림이 비교적 일정한 부위에 지속적으로 발생하고
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한다면 반드시 신경계 질환을 의심하고
신경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.

손발저림 원인

  • 1

    손발저림이 양측성, 대칭성으로 오는 경우 대개 말초신경병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침범되는 신경부위에 따라서 단발성과 다발성이 나뉩니다.

  • 2

    손저림의 가장 흔한 유발질환은 손목터널증후군으로 손목 인대 등의 구조물 사이에서 정중신경의 압박 때문에 발생하게 됩니다.

  • 3

    목뼈, 허리뼈, 엉치뼈에서 신경근이 압박되는 경우 흔히 목에서 팔로 혹은 허리나 엉덩이에서 다리로 뻗치는 통증과 함께 저린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도 흔히 발생합니다.

  • 4

    뇌졸중인 경우에는 대칭성보다는 일측성으로 갑자기 저린 증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  • 5

    드물게 척수 질환인 경우 어느 부위 이하의 감각 이상이 동반되며, 배뇨장애, 배변장애, 근위약감이 동반하는 경우가 흔합니다.

말초신경병증과 뇌졸중의 차이

  • 1
    뇌졸중은 갑자기 발생하고 말초신경병증에 의한 손발저림은 서서히 발병합니다.
  • 2
    뇌졸중에서는 손바닥과 손등 양쪽에서 증상이 나타납니다.
  • 3
    뇌졸중에서는 손저림 단독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며 언어장애나 반신 마비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.
  • 4
    뇌졸중에 의한 손발저림은 뇌졸중 발병 시보다는 뇌 특정 부위의 손상으로 인한 후유증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.

말초신경병증과 말초혈액순환장애의 다른 점

  • 1
    말초순환장애는 저림보다는 통증이 흔한 증상입니다.
  • 2
    손 특히 손가락 끝이 찹니다.
  • 3
    찬물에 손을 넣으면 손끝이 하얗게 됩니다.
  • 4
    팔목부위 맥박이 약해집니다.
  • 5
    실제로는 매우 드문 병입니다.

손발저림 진단 및 치료


손발 저림의 진단은 의사의 진찰과 이를 확인하기 위한
전기생리학적 검사가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
전기생리학적 검사는 근전도 검사와 신경전도 검사,
유발전위검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
진찰한 결과에 따라서 상세한 검사를 하게 됩니다.

손발저림의 원인을 확인 한 후에는 원인에 따라서
치료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
말초신경병인 경우, 이를 유발할 수 있는 당뇨나 다른 질환을 찾고
신경근병증인 경우 디스크나 퇴행성 척추관절염 등을 조사해야 하며
드물게 척수질환이나 뇌졸중인 경우엔 영상검사가 필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