영아기
|
출산시의 두부외상이나 산소 부족에 의한 뇌손상, 뇌염이나 뇌막염, 선천성기형, 주산기 뇌손상, 선천성 기형, 저칼슘증, 저혈당증, 대사성 질환 |
영아기
|
|
출산시의 두부외상이나 산소 부족에 의한 뇌손상, 뇌염이나 뇌막염, 선천성기형, 주산기 뇌손상, 선천성 기형, 저칼슘증, 저혈당증, 대사성 질환 | |
유아기
|
열성 경련, 출산시 뇌손상, 감염 뇌염 및 뇌성마비 |
유아기
|
|
열성 경련, 출산시 뇌손상, 감염 뇌염 및 뇌성마비 | |
학동기 | 원인이 없는 경우(특발성), 출산시 뇌손상, 외상, 감염 |
학동기 | |
원인이 없는 경우(특발성), 출산시 뇌손상, 외상, 감염 | |
청장년기 | 외상, 종양, 특발성, 뇌졸증, 알콜중독, 감염 |
청장년기 | |
외상, 종양, 특발성, 뇌졸증, 알콜중독, 감염 | |
노년기 | 뇌졸중, 뇌 외상, 종양 |
노년기 | |
뇌졸중, 뇌 외상, 종양 |
전신 발작
|
대뇌 전체에서 동시에 발작이 시작되며 처음부터 의식소실과 함께 전신적 발작을 일으키는 것입니다.
전신 발작의 종류는 강직-간대 발작 또는 대발작, 소발작, 근간대성 간질, 실조성 간질등이 있으며 발작의 양상이 각각 다릅니다. |
전신 발작
|
|
대뇌 전체에서 동시에 발작이 시작되며 처음부터 의식소실과 함께 전신적 발작을 일으키는 것입니다.
전신 발작의 종류는 강직-간대 발작 또는 대발작, 소발작, 근간대성 간질, 실조성 간질등이 있으며 발작의 양상이 각각 다릅니다. |
|
부분 발작
|
발작을 시작하는 전조 증상을 경험하게 됩니다. 부분 발작은 의식의 혼탁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크게 복합 부분 발작과 단순 부분 발작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.
간질을 치료할 때는 간질 발작의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므로, 치료 시에는 더 세분화된 분류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이 중 복합 부분 발작이 전체 간질의 2/3를 차지합니다. |
부분 발작
|
|
발작을 시작하는 전조 증상을 경험하게 됩니다. 부분 발작은 의식의 혼탁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크게 복합 부분 발작과 단순 부분 발작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.
간질을 치료할 때는 간질 발작의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므로, 치료 시에는 더 세분화된 분류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이 중 복합 부분 발작이 전체 간질의 2/3를 차지합니다. |